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NU Today

혁신을 이끄는 국가거점국립대학의 리더

GNU 인물

정현영 교수, 리튬황 배터리의 성능 혁신

  • 부서명대외협력과
  • 등록일 2024.12.09
  • 조회수 131

UAM 용 리튬황 배터리의 작동 모식도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드론 ‘더 오래 더 멀리’ 갈 수 있다

▸ 리튬화 폴리머와 황의 만남, 리튬황 배터리의 성능 혁신

▸ 중국의 상용화 대비 목표에 한국은 기술 개발과 혁신 필요

▸ 최상위 국제 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에 게재


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공과대학 에너지공학과 정현영 교수팀이 리튬황(Li-S)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와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한 이온 전도성 능동형 바인더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이번 연구는 두꺼운 황 전극에서도 전극 내 이온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활성 바인더의 이온 트레이드오프 전략을 제시해 리튬황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리튬황 배터리는 약 2,600Wh/kg의 이론적 에너지밀도를 가지며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약 7~10배 높다또한 지구상에 6번째 풍부한 유황의 저렴한 가격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글로벌 배터리 시장을 선도할 차세대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정부는 차세대 전지 초격차 R&D 전략(23년 4관계부처 합동)의 27대 핵심기술로써 혁신적 효율성능 향상을 위한 황 전극을 활용한 리튬황 배터리 기술을 차세대 전지 시스템으로 선정하였다또한 2023년 8국가전략기술 이차전지 R&D 로드맵을 수립하여 차세대 이차전지의 핵심기술을 전고체전지리튬금속전지나트륨이온전지와 함께 리튬황 배터리를 4대 기술 분야로 지정하여 이차전지의 기술 패권 경쟁을 주도하기 위해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20년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태양광 드론에 리튬황 배터리를 탑재해 성층권 고도에서 13시간의 시험 비행을 성공한 바 있다그러나 상용화까지는 넘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드론의 운행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용량을 더욱 늘리고에너지 밀도를 한층 개선하는 동시에 수명 주기를 연장하는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극 내 유황의 사용량을 늘리고 전해질 사용량을 줄여야 하지만유황 사용량 증가에 따라 전해질 사용량도 함께 늘어나는 기술적 난제가 존재한다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현영 교수팀은 이온 전도성이 부여된 활성(active) 바인더를 활용한 이온 트레이드오프 전략을 통해 리튬황 배터리의 성능을 대폭 보완했다이 활성 바인더는 물에 녹는 수계고분자에 직접 리튬이온을 결합한 것으로 전해질의 양이 매우 적은 희박 전해질에서도 전극에 리튬을 직접 공급함으로써 이온 전달 저항을 줄이고 황 전극의 반응성을 높였다이를 통해 두꺼운 전극에서 발생하는 이온 불균형 문제뿐만 아니라 폴리설파이드 용출 문제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기존 바인더는 전극 소재에서 접착제 역할을 할 뿐 오랫동안 전극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패시브(passive)한 소재로 간주되어 왔다.


정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리튬황 배터리는두꺼운 황 전극(8.1mg/cm²)에서도 1,020mAh/g의 용량을 달성했으며이는 상용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약 5배 높은 수치이다또한 전해질의 양은 기존(~30μL/mg) 대비 4μL/mg로 약 1/7배 적게 사용하였고, 1,000회 이상의 충·방전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교신저자인 정현영 교수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드론 등 고성능 무인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리튬황 배터리 연구에서 중요한 기술적 진보를 이뤘다고 밝혔다.


정현영 교수는 리튬황 배터리 분야 연구의 85%를 중국이 주도하고 있지만한국의 연구 비중은 약 6%에 그치고 있다라며 중국이 상용화 목표에 먼저 도달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한국은 기술 개발과 혁신을 더욱 가속화해야 한다이번 연구가 차세대배터리 경쟁에서 한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최상위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 (IF=16.8) 최신 호에 실용적인 희박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후막 황 양극의 가역적 리튬 이온 트레이드오프(Reversible Li-ion trade-off in ultrathick sulfur cathodes for practical lean Li–S batteries)’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 사진 설명: UAM 용 리튬황 배터리의 작동 모식도

⊙ 내용 문의: 경상국립대 에너지공학과 정현영 교수 055-772-3883

  • 소속 : 대외협력과
  • 전화번호 : 055-772-3177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자료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가좌캠퍼스 52828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055) 772 - 0114,1114
  • 칠암캠퍼스 [대학본부] 52725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33
    055-772-0114
    [의·간호] 52727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816번길 15
    055-772-8017
  • 통영캠퍼스 53064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해안로 2
    055-772-9099
  • 창원산학캠퍼스 51391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차룡로 48번길 54
    055-250-7300
  • 내동캠퍼스 52849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로 139번길 8
    055-772-0114
라이트
모드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