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노·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전공 발전계획 | |||
1. 발전계획에 대한 개요
-인재: 첨단 소재·부품 전문지식을 함양한 고급인재 양성 전략 추진
-연구: 첨단분야 또는 지역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소재·부품 분야 선도 연구성과 창출
-융합: 대학/학과를 초월한 융합 교육 실현과 산학 융합 연구 추진
2. 발전계획의 방향
-인재양성: 학부생 및 석박사생의 이론-실무가 연계된 효율적인 전공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교수:학생=1:1 밀착형 첨단 소재·부품 개발 경험을 제공하여 학생간 차별화된
학업 역량 함양하고 전공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급인재 양성
-연구개발: 수월성 높은 국제적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논문/특허/기술이전 등). 해당 분야
선도기관과의 교류/공동연구를 통한 새로운 소재·부품 시장 창출. 이를 기반으로 한 집단
연구과제 기획 및 수주
-융합교육: 융합학과, 마이크로디그리 등을 활용한 대학/학과를 초월한 융합 교육과정 개발.
학부생 및 석박사생의 취업과 연계될 수 있는 산학협력 연구과정/교육과정 개발. 해외대학/산업체
MOU 및 글로컬 연계 강화
3. 학과 비전 및 목표
-비전: 연구 분야의 실무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연구중심 학과로 도약하여 첨단 소재·부품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국내외 산학연 연구/인력양성의 허브 역할 수행
-발전목표
인재양성 | 고분자공학 기술 진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창의융합인재 양성 전방산업 기술개발에 수월하게 기여할 수 있는 고급인재 양성 |
연구개발 | 첨단분야/지역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는 선도 연구성과 창출 원천기술 개발 산학협력으로 세계시장 주도하는 미래 유망 소재기술 발굴 |
융합교육 | 대학/전공을 초월한 융합 교육 과정 개발 글로컬 연계 강화와 학부생 및 석박사생 취업 연계형 연구/교육과정 개발 |
4. 발전계획 추진체계 및 절차
발전목표 | 추진과제 | 추진전략 | 절차 및 성과점검 | 참여인력 | ||||
인재양성 | 이론/실무 연계 혁신교과목 개발 | 교과목 현황 분석 산업 현황에 맞는 교과목 개발/개선 | 매년 4, 10월 교과목 개편 회의 | 전임교원 | ||||
교수-학생 밀착형 연구수행 | 예비 졸업생 대상 연구수행 | 3월 수요조사 12월 성과발표회 | 전임교원 예비졸업생(학부) | |||||
연구개발 | 국제적 수준 연구성과 창출 | 논문게재/특허출원 실적 강화 | 학기별 현황 점검(학과회의) | 전임교원 연구실 소속 학생 | ||||
대학 사업 견인 연구과제 추진 | 개인/집단 연구과제 수주 인력양성사업 추진 | 과제 수주를 위한 회의 및 교류회 | 전임교원 | |||||
융합교육 | 대학/학과를 초월한 교육과정 | 융합전공/마이크로디그리 운영 | 학기별 현황 점검 수혜학생 홍보 | 전임교원 학부 2-4년생 대학원생 | ||||
산학협력과 글로컬 네트워크 | 타기관 기술교류 및 MOU | 수시 실적 점검 | 학과전체 | |||||
공통 | 인재양성과 진로개척 | 진로역량 함양과 진로성과 발굴 | 개인 상담 강화 역량 강화 교육 실시 | 학과전체 |
5. 세부 추진 과제
과제 | 추진과제명 | 목표값 | 비고 |
인재-1 | 이론/실무가 연계된 혁신교과목 | 1건/연 | 25학년도 2학기부터 시작 |
인재-2 | 교수-학생 밀착형 소재·부품 개발 경험 제공 | 80% | |
연구-1 | 국제적 수준 연구성과 창출 | 40건/연 | |
연구-2 | 대학 사업을 견인하는 연구과제 추진 | 13건/연 | 인력양성사업 1건/연 이상 추진 |
융합-1 | 대학/학과를 초월한 교육과정 운영 | 2건/연 | |
융합-2 | 산학협력과 글로컬 네트워크 | 18회/연 | |
공통-1 |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실시 | 3회/연 | |
공통-2 | GNU 소재·부품 우수인재 양성 | 취업/진학률 70% |
6. 과제별 추진 방안
연번 | 세부 추진 방안 | 지표명 | 연차별 성과목표 | ||
’24 | ’25 | ’26 | |||
인재-1 | 이론/실무가 연계된 혁신교과목: 산업 및 연구 트랜드에 맞춘 신규교과목 개발 또는 기성교과목 개선 | 교과목 개발/개선(건) | - | 1 | 2 |
인재-2 | 교수-학생 밀착형 소재·부품 개발 경험 제공: 예비졸업생의 개인별 연구주제 수행과 성과창출 | 연구논문수/ 예비졸업생수 | 80% | 82% | 85% |
연구-1 | 국제적 수준 연구성과 창출: 학부생, 석박사생과 연계한 연구성과의 논문 및 특허 게재 | 논문게재/특허출원(편) | 40 | 40 | 50 |
연구-2 | 대학 사업을 견인하는 연구과제 추진: 정출연 및 산학 연구과제 수주 및 운영 | 연구과제 수주/운영(건) | 13 | 14 | 16 |
융합-1 | 대학/학과를 초월한 교육과정 운영: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전공 또는 마이크로디그리(MD) 운영 | 융합전공/MD 운영(건) | 2 | 2 | 3 |
융합-2 | 산학협력과 글로컬 네트워크: 기업/연구소와의 기술교류와 해외기관과의 MOU/기술교류 추진 | 프로그램 수(회) | 18 | 20 | 27 |
공통-1 |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실시: 학부생 및 대학원생의 진로 탐색과 역량 탐색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 프로그램 수(회) | 3 | 3 | 4 |
공통-2 | GNU 소재·부품 우수인재 양성: 고급인력으로의 취업 실적 강화와 진학률 향상 | 취업/진학률 | 70 | 75 | 75 |
7. 성과관리 방안
-정기점검 실시: 정기 학과회의(1~2회/주) 개최를 통한 성과지표 정기점검. 학기초 성과달성을
위한 세부전략을 수립하고, 학기말 성과 최종 점검. 추진 실적이 미비한 실적은 학기중 대응전략 확보
-환류체계 구축: 전임교원, 재학생, 또는 산업체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 연구, 융합 분야의 세부전략의
적정성을 피드백하고 이에 대응한 수정전략 수립
-성과홍보 활성화: 취업, 연구성과, 교육성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학생의 우수 역량을 입증할 수
있는 성과를 대내외적으로 적극적으로 홍보 (언론사, 대학홈페이지 등)